주식 호가창 마스터 하기!!! 나도 이제 호가창 볼 줄 알아~~~
안녕하세요. 직장 외 수입으로 월 500만 목표로 활동하고 있는 경제적 자유프로젝트--신디입니다. 주식 시장의 시간대별 주문방법은 다릅니다. 9시부터 3시 30분까지 정규장에서는 보통 5가지 방법으로 주문이 가능합니다. <보통, 시장가, 조건부지정가, 최유리지정가, 최우선지정가> 그런데 이 주문 방법들을 제대로 이해하려면 호가창을 제대로 읽을 줄 알아야 하고 주문 체결의 원칙을 알아야 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호가창>부터 마스터하겠습니다.
1. 호가창 파해치기
이 사진은 삼성전자 호가창입니다. 적금보다 삼성전자 아니겠습니까? (실은 저도 삼성전자에 발이 ㅜㅜ 10만 전자 곧 오겠죠???) 호가창 처음 접하신 분은 조금 멘붕이 올 수 있습니다. 이게 다 뭐야? 얼마에 주문 내리는 거야? 여러 가지 의문이 많을 겁니다. 지금부터 하나씩 배워 나가겠습니다.
2. 매도호가
우선 위에 하늘색 부분은 매도 호가라는 겁니다. 아래 분홍색 부분은 매수 호가입니다. <호가>라는 것은 사려는 사람이나 팔려는 사람이 원하는 가격을 부른 것입니다. 그러니 지금 팔려고 하는 사람은 60900원부터 해서 61000원/61100원/61200원 이렇게 위로 쭉쭉 팔고 싶은 가격에 주문을 내놓은 상태입니다. 그래서 지금 매도 호가 중에서 가장 싼 가격은 60900원입니다. 그리고 60900원 오른쪽에는 0.16%/ 61000원 오른쪽에는 0% 적혀있는데요. 이것은 어제 종가 대비 해서 몇% 오른 가격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가격 왼쪽 옆에도 여러 가지 숫자가 쓰여있는데요. 60900원 왼쪽에는 211628이라는 숫자가 적혀있습니다. 이것은 그 가격에 주문한 사람들의 총수량을 의미합니다. 60900원에 1주 팔겠다는 사람, 10주 팔겠다는 사람 등등등 이렇게 60900원에 팔자고 주문을 내서 쌓인 수량 중에서 아직 체결되지 않고 남아있는 잔량이 이렇게 왼쪽에 표시됩니다.
검은색으로 네모로 표시한 가격이 현재가입니다. 말 그대로 현재가는 현재 거래되는 가격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서 60800원에 사겠다는 사람과 팔겠다는 사람의 주문이 딱 만나서 실시간으로 바로 지금 체결이 된 것입니다. 그러니까 현재가는 계속 바뀌고 네모칸이 오르락내리락할 수밖에 없습니다.
3. 매수호가
그럼 반대로 분홍색 부분은 <매수호가>입니다. 지금 60800원부터 60700원/60600원/60500원 ~~~ 이렇게 계속 낮은 가격대로 매수호가가 쌓여 있는 상황입니다. 매도호가는 위로 쭉 올라가고 매수호가는 아래로 쭉 내려갑니다. 매도할 때는 비싼 가격에 팔고 싶어서 높은 가격들을 이렇게 불러 놓은 거고 매수할 때는 낮은 가격에 사고 싶어서 낮은 가격들을 불러 놓은 것입니다. 마찬가지로 가격 오른쪽에 퍼세트는 어제 종가 대비 이 가격이 몇 퍼센트인지를 나타내는 수치입니다. 파란 글씨는 마이나스이고 빨간 글씨는 플러스를 나타내는 표시입니다. 그리고 60800원 오른쪽에 적힌 210349는 매수 잔량입니다. (60800원에 매수 주문 들어온 총수량 중에 체결되지 않고 남은 수량)
4. 호가창의 상한가/하한가
호가창 빨간색 표시 부분 다시 살펴보면 ▶고가 61300원은 오늘 거래된 가격 중 가장 높은 가격이고 ▶저가 60700원은 오늘 거래된 가격 중 가장 낮은 가격입니다. 여기서 잠깐 상한가/하한가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현재 국내 주식시장의 상한/하한 폭은 플러스/마이나스 30%입니다. ▷상한가: 주식시장에서 개별 종목의 주가가 일별로 상승할 수 있는 최고 가격입니다. ▷하한가: 주식시장에서 개별 종목의 주가가 일별로 하락할 수 있는 최저 가격입니다.
어제 종가는 호가창에서 검은색 글씨로 나타납니다. 즉 삼성전자의 어제 종가는 61000원입니다. ▶상한가 79300원입니다. (어제 종가 61000원보다 30% 상승한 가격입니다.) ▶하한가 42700원입니다. (어제 종가 61000원보다 30% 하락한 가격입니다.)
4. 호가창의 상 VI / 하 VI
상 VI와 하 VI를 설명하기 전에 먼저 VI를 먼저 설명하겠습니다. VI는 변동성 완화장치라고 합니다. 개별종목의 체결 가격이 일정 범위를 벗어날 경우 주가급변 등을 완화하기 위해 2분간 단일가 매매로 전환하는 장치입니다. 이때는 실시간으로 체결되던 거래가 잠시 중단이 되고 2분 동안 주문 접수만 받고 2분 뒤에 딱 하나의 가격으로 한꺼번에 체결됩니다. 이렇게 해서 너무 뜨거워진 열기를 잠깐 시켜주는 역할을 합니다.
VI는 동적 VI와 정적 VI로 나눠져 있습니다. 동적 VI는 직전 체결 가격 기준 2~3% 이상 벗어나는 경우 2분간 단일가 매매로 전환합니다. 정적 VI는 전일 종가 기준 10% 이상 주가 변동 시 2분간 단일가 매매로 전환합니다. 삼성전자 호가창에서 어제 종가 61000원이니까 10% 이상 급등했으면 상 VI가 발동이 되고 10% 이상 급락했으면 하 VI가 발동됩니다. 상한가가 플러서 30%이니 상한가를 가려면 무조건 정적 VI는 한번 발생합니다.▶상 VI 가격은 67300원입니다. ▶하 VI 가격은 54900원입니다. 정적 상 VI가 걸린 종목들은 당일에 10% 이상 급등 이 나왔기 때문에 이런 종목들만 찾아서 단타 하시는 분들 굉장히 많습니다.
5. 매수 매도 실시간 체결
왼쪽 아래 부분은 매수/매도 실시간 체결 표시입니다. 60800원 50주 매도체결입니다. 60800원 100주 매도체결입니다. 60900원 83주 매수체결입니다. 60900원 121주 매수체결입니다. 이렇게 체결된 정보를 보여주는 표입니다. 여기서 빨간색이 많고 체결된 수량이 많을수록 주가가 올라갈 확률이 높습니다. 사려고 하는 힘이 더 강해서 계속 매수 체결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뜻입니다.
최종정리
이렇게 호가창을 보면서 주식 매매할 때 나만의 판단을 해보시면 되겠습니다. 오늘 배운 내용 그림 한 장으로 정리하고 마무리하겠습니다.
지금까지 직장 외 수입으로 월 500만 목표로 활동하는 경제적 자유프로젝트--신디였습니다. 앞으로 많은 사랑과 관심 부탁드려요.
'주린이 주식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주문 체결 원칙/주식 주문할 때 이것 모르면 큰일 나요~ (2) | 2023.01.28 |
---|---|
주식거래 시간/동시호가/시간 외 종가 (0) | 2023.01.25 |
코스피 지수와 코스탁 지수 뭐예요? (0) | 2023.01.23 |
추세선 이용해서 매수/매도 타이밍 잡기 (0) | 2023.01.21 |
주식차트에 선만 잘 그어도 돈 벌수 있다/지지선/저항선/추세선 (0) | 2023.01.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