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린이 주식공부

코스피 지수와 코스탁 지수 뭐예요?

by 신디2023 2023. 1. 23.
반응형

코스피 지수와 코스닥 지수 뭐예요?

한국 주식 시장 대표 지수

안녕하세요. 직장 외 수입으로 월 500만 목표로 활동하고 있는 경제적 자유프로젝트--신디입니다. 뉴스나 기사에서 이런 얘기는 한 번쯤 들어 보셨을 거예요. 오늘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0.63% 오른  2395.26선에서 마감했습니다. 코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0.71% 올라서 717.97선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여기서 코스피 지수는 무엇이고 코스닥 지수는 무엇인지? 이 수치가 의미하는 게 무엇이냐? 코스피 지수랑 코스닥 지수 숫자상 차이가 이렇게 많이 나? 오늘은 이런 의문점을 하나하나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1. 코스피 지수

코스피 지수란 코스피 시장에 상장돼 있는 모든 기업의 움직임을 한눈에 볼 수 있게 수치화 한 지표입니다. 국내 대표 기업들이 대부분 코스피 시장에 상장돼 있습니다. 그래서 코스피 지수는 우리나라 주식시장의 대표 지수라고 할 수 있고 종합주가지수라고도 부릅니다. 어떻게 구하는지 식을 살펴보시면 더 느낌이 잘 오실 겁니다. 비교시점의 시가총액 / 기준시점(1980년 1월 40일)의 시가총액 X 100 즉 1980년 1월 4일 코스피 시가총액을 100으로 100으로 정하고현재 시점의 코스피 시가총액이 얼마나 변했는지 비교하는 것입니다. 시가총액=상장 주식 수 X  현재 주가 코스피 전체 시가총액=삼성전자의 시가총액+SK하이닉스의 시가총액+ 등등등

 

2023년 1월 21일 기준 코스피 지수가 2400건 근처에서 움직이고 있습니다. 이 말은 코스피 시장의 시가총액이 1980년 1월 4일보다 24배 상승했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시가총액은 현재 주가의 오르내림에 영향을 받게 돼서 당일의 주가가 떨어진 종목이 많다면 지수도 같이 하락하게 되는 것이고 주가가 오른 종목이 많다면 지수도 같이 상승합니다. 이것이 바로 코스피 지수를 봐야 하는 이유입니다.

 

만약 삼성전자 한 종목만 매수해서 그 종목만 맨날 보고 있으면 시장 전체의 분위기가 상승인지 하락인지 파악할 수 없습니다. 코스피 지수는 코스피 시장에서 거래되는 모든 주식을 대상을 산출한 지수이기 때문에 전체 시장의 동향을 잘 보여준다고 할 수 있습니다. 아무리 좋은 종목을 가지고 있어도 시장 분위기에 휩쓸러서 주가가 하락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코로나 사태로 코스피 시장 전체가 무너지고 거의 모든 종목이 하향) 반면에 시장 분위기가 너무 좋아서 내가 가지고 있는 종목이 별 볼일 없다고 해도 같이 오르는 경우도 있습니다. (코로나19 이후 주가가 빠르게 회복세를 타면서 대부분의 종목들이

이유 없이 덩달아 오른 게 바로 이런 경우입니다.) 그래서 코스피 지수의 흐름 주식하려면 꼭 파악하셔야 합니다.

 

2. 코스피 지수는 올랐는데 내 주식은 도대체 왜 떨어죠?

코스피 전체 시가총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삼성전자, SK하이닉스, NAVER 이런 종목들의 주가가 오르면 지수가 더 확 오르겠습니다. 왜냐면 상장된 주식 수가 많아서 시가총액이 확 커지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상대적으로 비중이 작은 주식수가 좀 적은 기업들의 주가는 대체적으로 떨어졌는데도 삼성전자, 현대차 이렇게 큰 기업들의 주가가 오른 덕에 코스피 지수는 상승할 때도 많습니다.

 

그러니까 내 주식은 떨어졌지만 지수 자체는 오를 수 있다는 뜻입니다. 시가총액 큰 기업들의 주가가 오르면서 당일 코스피지수를 올렸기 때문입니다. 그러니까 코스피 지수가 오른다고 해서 코스피 시장에 상장된 모든 종목이 오르는 건 아닙니다. 지수가 상승하거나 하락하더라도 개별 종목들의 주가는 제각각입니다.

 

3. 코스닥 지수

코스닥 시장에 상장된 모든 종목의 시가총액 변화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코스닥 지수 산출공식 비교시점 시가총액 / 기준시점(1996년 7월 1일 시가총액) X1000 ▶주의점: 코스피 지수는 100이 기준지수 였는데 왜 코스닥 지수는 1000이에요?

 

처음에는 코스닥도 기준지수가 100으로 동일했는데요/2000년대 초반에 IT열풍을 타면서 지수가 2900포인트 넘기기도 했습니다. 현재 코스피 지수가 2400대니까 얼마나 대단했는지 감이 오시죠? 주가가 6개월 만에 150배 간 종목도 있었습니다. 그런데 IT버블이 꺼지면서 코스닥 지수가 300선 근처까지 갔어요. 2900에서 300까지 떨어진 것입니다. 너무 끔찍하지 않아요! 주식했다가 집 말아먹었다는 얘기가 이때부터 나온 게 아닌가 싶어요 ㅜㅜ

 

이렇게 지수가 몇백대를 전전하게 되니까 다른 시장과의 비교가 어려워져서 그래서 결국 100을 곱하던 배율을 10배 높여서 1000을 곱하도록 했습니다. 2004년 1월 26일부터 그렇게 적용됐다고 합니다. 코스닥 지수가 오른다고 해서 코스닥 시장에 속한 모든 종목의 주가가 오른 것은 아닙니다. 코스닥 지수와 별개로 종목별 움직임은 다를 수 있습니다.

 

코스피 지수는 기준지수 100입니다. 코스닥 지수는 기준지수 1000입니다. 이렇게 기본 단위가 다르기 때문에 절대적인 수치 자체로 비교하는 것은 의미가 없고 개별 지수가 전 거래일 대비 오른 것인지? 떨어진 것인지? 그동안의 지수대 대비해서 높은 수준인지? 낮은 수준인지? 이런 부분을 파악하는데 중요합니다.

 

최종정리

오늘 한국의 대표 지수 두 가지를 알아봤습니다. 그 외에 중요한 지수 2개만 더 설명드리자면 코스피 200과 KRX300 지수가 있습니다.▷코스피 200:코스피 시장에 상장된 종목 중 우량종목 200개를 기준으로 만든 지수입니다. ▷KRX300: 코스피와 코스닥 종목을 합쳐 총 300개 종목으로 구성되었습니다.(코스피 200 지수가 코스닥 시장을 반영하지 못하는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만든 지수입니다.) 오늘 내용도 도움이 되셨다면 감사하겠습니다.

 

지금까지 직장 외 수입으로 월 500만 목표로 활동하는 경제적 자유프로젝트--신디였습니다. (더 상세한 내용은 유튜브-주식애소리 님 참고 부탁드려요) 앞으로 많은 사랑과 관심 부탁드려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