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시호가 개념&가격 결정 원리! 예시 통해 쉽게 이해하세요.
안녕하세요. 직장 외 수입으로 월 500만 목표로 활동하고 있는 경제적 자유프로젝트--신디입니다.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기도 하고 어려워하시기도 하는 <동시호가> 개념과 하나의 가격 결정 원리! 꼼꼼히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예시 통해서 쉽게 이해하고 가세요~~~~ 이 보다 쉬운 설명은 없습니다.
1. 동시호가 개념
<호가>란 말 그대로 가격을 부른다는 뜻이고 앞에 <동시>라는 단어가 붙어서 ▶동시호가는 모든 호가가 동시에 접수된 것으로 간주합니다. 주식 매매 체결의 원칙은 가격 우선의 원칙> 시가 우선의 원칙> 수량 우선의 원칙> 위탁 매매의 원칙 순서대로 적용이 됩니다. 그런데 동시호가는 다 같은 시간대에 주문이 접수된 것으로 보기 때문에 시간 우선의 원칙이 배제된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그리고 주식 매매 시간대 별로 주문 방법이 다릅니다. 아래 사진 참고 부탁드립니다.
동시호가가 적용되는 시간대는 두 가지로 나뉘는데요. 장 시작전시작 전 8시 30분부터 9시까지 30분 동안 진행되는 장 시작 전 동시호가와 장 마감전 3시 20분부터 3시 30분까지 10분 동안 진행되는 장 마감 동시호가 이 정해진 시간 동안에는 접수된 주문이 다 똑같은 시간에 들어온 것으로 간주합니다.
2. 동시호가 시간에는 정규장과 어떤 차이가 있어요?
동시호가 시간대에는 실시간으로 거래가 체결되지 않고 단순히 주문 접수만 받습니다. 장 전 동시호가:(8시 30분~9시) 30분 동안 매수와 매도 주문 접수만 받고 30분간 누적된 매수/매도 주문을 분석해서 9시에 가장 적절한 하나의 가격(동시호가)으로 한꺼번에 체결됩니다. 그리고 동시호가 시간대에 이루어지는 매매 방식의 정확한 명칭은 단일가 매매입니다. 가격이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장 마감 동시호가:(3시 20분~3시 30분) 동안 매수/매도 주문 접수만 받고 10분간 누적된 매수/매도 주문을 분석해서 장 끝나는 3시 30분에 동시호가로 모든 주문의 일괄 체결됩니다. ▶장 시작 동시호가를 통해 그날의 시가를 결정합니다. ▶장 마감 동시호가를 통해 그날의 종가를 결정합니다. 그래서 동시호가 시간이 굉장히 중요합니다.
3. 왜 동시호가 제도를 도입하게 되었을까요?
일반적으로 주식거래는 장 시작 시간과 장 마감 시간에 몰리는 경향이 있습니다. 특히 밤 사이에 어떤 엄청나게 큰 사건이 하나 터지면 다음 날 장 시작 전 주문이 폭주하게 됩니다. 이때 주문을 순서대로 체결시키면 거래가 원활하게 진행하기 힘들고 갑작스러운 주문 폭주로 주가가 왜곡될 수도 있습니다. 이를 막기 위해서 동시호가 제도가 생겨났습니다. ▶동시호가는 주문 폭주로 갑작스러운 주가의 변동을 막기 위한 제도입니다. (일반적으로 주식 거래는 장 시작과 마감 직전에 몰림)
4. 동시호가 가격은 어떻게 결정되나요? 예시 1 보기
예시 1 보시면 매도자 A는 11000원에 1000주 매도 주문하고 매도자 B는 10000원에 500주 매도 주문하고 매수자 C는 9000원에 1000주 매수 주문하고 매수자 D는 10000원에 1000주 매수 주문합니다.
STEP 1. 동시호가에는 시간 우선의 원칙은 배제되지만 가격 우선의 원칙은 적용됩니다. 매도자는 B가 A보다 싼 가격을 불렀기 때문에 B가 가격 우선순위를 가지고 매수자는 D가 C보다 비싼 가격을 불렀기 때문에 D가 우선순위를 가집니다.
STEP 2. 우선순위를 가진 B는 10000원에 지금 팔고 싶고 또 다른 우선순위를 가진 D는 10000원에 사고 싶습니다. 그러니까 B와 D는 500주 거래가 가능합니다. B는 매도 주문한 500주를 모두 팔 수 있고 D는 10000원에 500주를 먼저 사고 나머지 500주는 매수 잔량에 쌓이게 됩니다.
STEP 3. 다음 순위 매도자 A와 매수자 D의 매수 잔량 500주는 거래가 성립이 안됩니다. A는 11000원에 팔고 싶어 하고 D는 10000원에 사고 싶어 하기 때문입니다. C는 9000D원에 사고 싶어 하니까 성립이 더 안됩니다.
STEP 4. 그 결과 모든 주문들의 체결이 완료된 시점에 동시호가는 10000원이 되고 10000원에 총 500주 거래가 체결됩니다. 그래서 동시호가 시간대에 내 주문을 체결시키고 싶으면 매도할 때는 조금 싼 가격에, 매수할 때는 조금 비싼 가격에 주문을 내야 동시호가의 체결 가능성이 조금 높일 수 있겠습니다.
5. 동시호가 가격은 어떻게 결정되나요? 예시 2 보기
예시 2 보시면 매도자 A는 10000원에 1000주 매도 주문하고 매도자 B는 9000원에 1500주 매도 주문하고 매도자 C는 8500원에 500주 매도 주문합니다. 매수자 D는 11000원에 500주 매수 주문하고 매수자 E는 10500원에 1000주 매수 주문하고 매수자 F는 9500원에 2000주 매수 주문합니다.
STEP 1. 동시호가에는 시간 우선의 원칙은 배제되지만 가격 우선의 원칙은 적용됩니다. 매도자는 C가 제일 운선순위고 매수자는 D가 제일 우선순위 되겠습니다.
STEP 2. 우선선위를 가진 매도자 C는 8500원만 되면 팔고 싶어 하고 우선순위를 가진 매수자 D는 11000원에도 이 주식을 사고 싶어 합니다. 그러니 C와 D 사이에 500주 거래가 가능합니다. C는 500주 물량을 다 매도할 수 있고 D는 사려는 500주 다 살 수 있습니다.
STEP 3. 매도자 중에 다음 순위를 가진 B와 매수장 중에 다음 순위를 가진 E 사이에도 거래가 가능합니다. B는 9000원에도 다 팔려고 하고 E는 10500원에도 사려고 하니까 거래가 가능합니다. E는 사려는 1000주를 다 매수할 수 있고 B는 1500주 매도 물량 중에서 1000주를 매도할 수 있고 500주는 매도 잔량으로 남게 됩니다.
STEP 4. 매도자 B의 남은 물량 500주와 매수자 마지막 순위 F는 거래가 가능합니다. B는 남은 500주를 다 팔 수 있고 F는 2000주 중에 500주는 살 수 있고 1500주는 매수 잔량으로 남게 됩니다.
STEP 5. F의 남은 1500주와 매도자 마지막 순위인 A는 거래가 체결 안됩니다. A는 10000원에 팔고 싶지만 F는 9500원에 사고 싶어 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면 가장 마직막에 체결된 거래가 B의 매도호가 9000원과 F의 매수 호가 9500원입니다. 매도 호가와 매수호가가 가격이 일치하지 않은 상황에서 거래가 체결되었습니다. 이럴 경우 동시호가는 9000원/9500원 어떤 것일까요? 네, 이럴 때는 따로 정해진 규정이 있습니다.
▶유가증권시장 업무규정 제23조 (단일가격에 의한 개별경쟁매매) 제5항: 단일가격에 의한 개별경쟁매매(동시호가 개념)에 의한 가격을 결정함에 있어 합치가격(동시호가가 결정되는 가격)이 두 개 이상 있을 경우에는 다음에 해당하는 가격으로 정한다. 1) 직전의 가격과 동일한 가격이 있을 때에는 그 가격입니다. 2) 직전의 가격과 동일한 가격이 없을 때에는 직전이 가격에 가장 가까운 가격입니다. 직전의 가격이란 장 시작 동시호가는 전일 종가로 합니다. 장 마감 동시호가는 장 종료 전 15시 20분 정규장 마지막 체결단가입니다.
마지막 거래로 돌아오면 두 개의 합치가격이 B의 9000원과 F의 9500원인데 이 주문들이 장 시작 동시호가 접수 주문이라고 치면 전일 종가가 검은색 글씨 10000원이기 때문에 더 가까운 9500원으로 동시호가가 결정됩니다.
☞만약 종가 가격과 두 개의 합치가격의 차이가 같을 경우는 어떻게 할까요? 그러니까 전일 종가가 10000원이고 두 개의 합치가격이 9500원과 10500원인 경우에는 어떻게 할까요? 이때는 먼저 주문이 들어온 가격으로 결정됩니다.
최종정리
오늘은 동시호가 개념과 가격결정에 기본원리를 설명했습니다. 그리고 중요한 내용 있는데요. 장 시작 전에 동시호가 주문을 냈는데 체결이 안될 경우 주문이 자동 취소 되는 게 아니고 정규장에 그 주문 그대로 살아있어요. 그런데 동시호가 때 주문이 정규장에서는 오히려 불리하게 적용할 수도 있기 때문에 취소하고 싶을 분은 직접 취소해 주셔야 합니다. 반면에 장 마감 동시호가 때는 미체결시 장 종료 후 자동 주문 취소됩니다. 이 부분까지 설명드리면서 강의 마치겠습니다.
지금까지 직장 외 수입으로 월 500만 목표로 활동하는 경제적 자유프로젝트--신디였습니다. (더 상세한 내용은 유튜브-주식애소리 님 참고 부탁드려요.) 앞으로 많은 사랑과 관심 부탁드려요.
'주린이 주식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상증자는 주가에 악재인가? 호재인가? 증자 방식/자금 조달 목적에 따라 다르다! (0) | 2023.02.03 |
---|---|
시간외 거래 방법! 시간외 종가/시간외 단일가 (0) | 2023.02.01 |
주식 주문 체결 원칙/주식 주문할 때 이것 모르면 큰일 나요~ (2) | 2023.01.28 |
주식거래 시간/동시호가/시간 외 종가 (0) | 2023.01.25 |
주식 호가창 마스터 하기!!!나도 이제 호가창 볼줄 알아~~~ (0) | 2023.01.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