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 외 거래 방법! 시간 외 종가/시간 외 단일가
안녕하세요. 직장 외 수입으로 월 500만 목표로 활동하고 있는 경제적 자유프로젝트--신디입니다. 오늘은 시간 외 거래 방법(정규장 이외에 거래할 수 있는 방법)을 배워보겠습니다. 시간 외 종가는 어떤 경우, 어떻게 주문내면 되는지? 시간 외 단일가는 또 어떤 경우에 어떻게 주문내야 하는지? 어렵지 않으니 끝까지 읽어주시면서 완벽히 이해하고 가세요.
1. 시간 외 거래방법
9시부터 15시 30분 정규장 이외에 거래할 수 있는 것을 <시간 외 거래>라고 합니다. 크게 <시간 외 종가>와 <시간 외 단일가>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2. 시간 외 종가
시간 외시 간 외 종가는 <장전 시간 외 종가>와 <장후 시간 외 종가>로 나뉩니다.
2-1 장전 시간 외 종가
<장전 시간 외 종가>는 오전 8시 30분부터 오전 8시 40분까지 10분간 진행이 되고 이 때는 전일 종가로 주문이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서 1월 31일 장 시작 전 시간 외 종가 주문 내려면 전일 종가인 1월 30일 종가로만 매수/매도 주문 가능합니다. 여기서도 매매 체결 원칙을 적용해야 합니다. 똑같이 전일 종가로 주문이 들어가니까 가격우선의 원칙은 없다고 보시면 되고 시간우선의 원칙이 적용됩니다. 그러니까 빨리 주문한 내역이 먼저 체결이 되겠습니다. 선착순이라고 생각하시고 빨리 주문 내셔야 합니다.
▶그럼 장전 시간 외 종가는 어떤 경우에 사용할까요? ① 관망하던 주식 종목이 정규장 마감 이후 호재가 터졌을 때! ☞예를 들어서 나는 이 호재를 저녁 7시쯤에 확인했는데 저녁 7시에는 주식을 살 수 없으니 다음 날 아침에 장 시작 전에 어제 종가에라도 사야겠다!(정규장에서는 어제 종가보다 더 오를 것이라고 생각함) 하지만 시간 상관없이 정규장 이후 호재를 파악했다면 다음 날 장전 시간 외 종가매매로 매수 노려볼 수 있겠습니다.
그런데 생각해 보세요. 이 경우에 사려는 사람은 많은데 과연 팔려는 사람은 있을까요? 호재가 터져서 주가가 올라가는 게 분명한데 매도를 하는 사람이 별로 없겠죠. 수요와 공급이 맞아떨어져야 체결이 될 수 있는데 매수세가 더 많아서 체결이 쉽지 않습니다.
② 보유 중인 종목이 정규장 마감 이후 악재가 터졌을 때! ☞예를 들어서 나는 이 악재를 저녁 8시쯤에 확인했는데 저녁 8시에는 주식을 살 수 없으니 다음 날 아침에 장 시작 전에 어제 종가에라도 팔아야겠다! (정규장에서는 어제 종가보다 더 빠질 것이라고 생각함) 마찬가지로 시간 상관없이 정규장 이후 악재를 파악했다면 다음 날 장전 시간 외 종가매매로 매도를 노려볼 수 있겠습니다.
그런데 마찬가지로 수요와 공급이 맞아떨어져야 하는데 이 경우에는 매수세는 거의 없고 다 팔려고 할 테니 팔기 쉽지 않겠습니다. 그래서 저도 시간 외 종가 매매 몇 번 시도는 해 봤는데 체결이 잘 안 되는 것 같습니다.
주문 방법을 낼 때는 사진처럼 <장전 시간 외>로 선택하시고 내시면 됩니다. 그러면 가격 입력란이 자동으로 막히고 수량만 입력해서 체결하시면 됩니다.
2-2 장후 시간 외 종가
<장후 시간 외 종가>는 오후 15시 40분부터 오후 16시까지 20분간 진행이 되겠습니다. 이 때는 전일 종가가 아니라 당일 종가로만 주문이 가능합니다. 오늘 3시 30분 딱 장 마감 가격으로 매수 또는 매도 주문을 내는 겁니다.
▶그럼 장후 시간 외 종가는 어떤 경우에 활용할까요? 내일 시가보다 오늘 종가 매매가 더 유리하다고 생각될 때! ☞예를 들어서 오늘 주식시장을 보면서 매수할까 계속 망설이였는데 장 마감에 위로 쭉 올리는 것을 보니까 힘이 굉장히 좋다고 판단하면 시간 외 종가 매매로 진행하면 되겠습니다.
마찬가지로 주문낼 때는 주문 방법을 <장후 시간 외>로 선택해서 수량만 지정해서 주문을 내시면 됩니다. 그리고 3시 30분~6시 사이에 호재를 파악했을 때 시간 외 단일가 시장에서 바로 매수 주문을 내기도 합니다.
3. 시간 외 단일가
장후 시간 외 종가는 오후 16시부터 오후 18시까지입니다. 이 때는 10분 단위로 체결되고 당일 종가 대비 플러서/마이너스 10% 가격으로 거래 가능합니다. 하나의 가격으로 체결이 된다고 해서 <단일가>라는 단어가 붙었습니다. 4시부터 4시 10분까지 주문 접수만 받고 4시 10분에 하나의 가격으로 4시 10분부터 4시 20분까지 주문 접수만 받고 4시 20분에 하나의 가격으로 총 2시간 동안에 12번의 동시호가 거래가 체결되겠습니다.
마찬가지로 시간 외 단일가도 주문을 낼 때 주문 방법을 꼭 <시간 외 단일가>로 선택하고 주문을 내셔야 한다는 것을 기억해 주시면 되겠습니다. 보통 시간 외 단일가 시간에 주가가 상승했다면 다음 날에도 강세를 보이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눈여겨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호재나 악재를 정규장 이후 (3시 30분~6시 사이) 파악했다면
시간 외 단일가 시장을 활용해서 매매해 볼 수도 있겠습니다.
최종정리
여기까지 오늘 내용 정리해 보겠습니다. 시간 외 거래방법은 크게 <시간 외 종가>와 <시간 외 단일가> 두 가지가 있습니다. <시간 외 종가>는 또 <장전 시간 외 종가>와 <장후 시간 외 종가>로 나눠져 있겠습니다. <장전 시간 외 종가>는 8시 30분~8시 40분까지 전일 종가로 거래가 됩니다. 관망하던 종목이 정규장 마감 후 호재가 터졌을 때 보유 중인 종목이 정규장 마감 후 악재가 터졌을 때 활용해 볼 수 있겠습니다. 하지만 보통 매수와 매도 수요가 안 맞아서 체결되기는 어렵겠습니다.
<장후 시간 외 종가>는 15시 40분부터 16시까지 당일 종가로 거래가 되겠습니다. 내일 시초가 매매보다 오늘 종가 매매가 더 유리하다고 판단될 때 활용합니다. <시간 외 단일가>는 16시부터 18시까지 10분간 단위로 체결됩니다. 당일 정규시장 상한가/하한가를 벗어나지는 못합니다. 시간 외 종가 매매 체결 확률 낮으니 장 마감 후 호재/악재 파악 후 단일가 시장에서 매매 많이 함.
지금까지 직장 외 수입으로 월 500만 목표로 활동하는 경제적 자유프로젝트--신디였습니다. (더 상세한 내용은 유튜브-주식애소리 님 참고 부탁드려요.) 앞으로 많은 사랑과 관심 부탁드려요.
'주린이 주식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분할매수는 모든 주식투자자들의 첫번째 매매원칙 (0) | 2023.02.05 |
---|---|
유상증자는 주가에 악재인가? 호재인가? 증자 방식/자금 조달 목적에 따라 다르다! (0) | 2023.02.03 |
동시호가 개념&가격 결정 원리! 예시 통해 쉽게 이해하세요. (2) | 2023.01.30 |
주식 주문 체결 원칙/주식 주문할 때 이것 모르면 큰일 나요~ (2) | 2023.01.28 |
주식거래 시간/동시호가/시간 외 종가 (0) | 2023.01.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