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린이 주식공부

분할매수는 모든 주식투자자들의 첫번째 매매원칙

by 신디2023 2023. 2. 5.
반응형

분할매수는 모든 주식투자자들의 첫 번째 매매원칙

분할매수 기본원칙 사진

안녕하세요. 직장 외 수입으로 월 500만 목표로 활동하고 있는 경제적 자유프로젝트--신디입니다. 주식하시거나 주식에 관심이 있으신 분은 이번 글 끝까지 봐주시면 큰 도움이 되실 겁니다. 모든 투자자들의 매매원칙 분할매수를 지금 바로 소개드리겠습니다.

 

 

1. 분할매수란 무엇인가?

분할매수는 현재까지 모든 투자자들의 기본원칙으로 하고 있습니다. 분할매수는 진짜 돈 벌 수 있습니다. 기본원칙인데 아직까지 이것을 지키지 않고 주식을 매수하시는 분이 너무나 많습니다. 보통 몰빵을 하시는 분이 손해를 많이 보고 있습니다. 오늘 내용 직접 해서 잘 보시면 바로 답안을 찾으실 수 있습니다.

 

분할매수란 매수하고자 하는 주식을 여러 번 나누어(분할) 매수하는 것을 말합니다. 내가 특정 종목을 사려고 할 때 사려는 총 목표금액을 미리 설정해 놓고 혹시나 주가가 하락할 수 있다는 가정하에 예상가격대별로 분할비율을 정해서 매수하는 방식입니다. 그런데 이렇게 말씀을 드리면 잘 이해하기 힘드실 수도 있겠습니다. 그래서 예를 들어서 설명하겠습니다.

 

A라는 주식이 현재가가 1만 원이고 나는 총 500만 어치를 매수하고 싶다고 계획을 정하겠습니다. 그러면 1만 원에 500주를 한 번에 매수하는 게 아니고 1차 매수 가는 1만 원, 2차 매수 가격은 9000원, 3차 매수 가격은 8000원 이렇게 하락할 때 단가를 본인 기준에 맞게 설정해 놓고 그 가격대별로 투자비중까지 잡아보는 것입니다. 1차 매수가인 1만 원에는 내가 총 투자하려는 금액의 30% 즉 150만 원을 매수하겠다고 설정해 놓습니다. 그리고 2차 매수가 9000원에는 추가 30% 해당하는 금액인 150만 원을 매수하겠다고 설정해 놓습니다. 혹시나 더 떨어져서 3차 매수가인 8000원이 되면 나머지 40%에 해당하는 금액 200만 원을 매수하겠다고 설정해 놓습니다. 이렇게 내가 어떤 종목을 매수하기 전에 미리 가격대별로 분할 계획을 세워두는 것이 바로 분할매수입니다.

 

그러면 꼭 3차례에 나눠서 사야 할까요? 아닙니다. 5차례에 사셔도 상관없고 10차례에 나눠서 사셔도 상관없습니다. 비중도 꼭 30%, 30%, 40% 이렇게 나눠진 않으셔도 됩니다. 이거는 시장 상황에 맞게 본인 스타일에 맞게 바꿔서 활용하시면 되겠습니다.

 

 

2. 왜 분할매수를 해야 할까요?

분할매수를 하는 제일 큰 이유는 안정성과 수익성을 다 잡을 수 있는 좋은 방법입니다. 우리가 아무리 주식시장을 열심히 보고 공부하고 확신을 가지고 매수를 해도 주식을 사면 다 오르는 것이 아닙니다. 이상하게도 내가 주식을 사면 그때부터 하락하는 종목들이 너무 많습니다. 그런데 내가 분할매수를 안 하고 가지고 있는 전 재산을 몰빵 했다고 하면 매수 후에 줄줄 흘러내리는 주식을 보면서 내가 할 수 있는 일이 기도와 존버뿐입니다.

 

반면에 분할매수를 했다면 하락할 때 2차 매수, 3차 매수로 대응하면서 매수 단가를 낮출 수 있고 한 번에 구매한 사람보다 빠른 시간 안에 수익 보고 매도할 수 있는 확률도 높아집니다. 실제 예시로 상세하게 설명하겠습니다.

22650원에 전 재산 한번에 매수하는 예시

<차바이오텍> 종목 차트입니다. 최근에 가장 고점 가격이 22650원입니다. 이 날에 꼭 더 올라갈 것 같아서 100주를 한 번에 구매했다고 가정하겠습니다. 딱 가진 돈이 230만 원이 전 재산이었는데 한 번에 전부 구매했습니다. 그럼 이 분은 현재 어떻게 하고 있을까요? 존버 아니면 손절 아니면 대출받아서 더 매수할 것 같습니다.

22650원&#44; 19250원&#44; 16980원 3번 매수하는 예시

그런데 반대로 분할매수 기법을 잘 적용해서 22650원에 100주 중에 30주를 매수하고 이후에 떨어져서 -15% 가격인 19250원에 30주를 또 매수하고 주가가 또 하락해서 -25% 가격인 16980원에 40주를 더 매수했다고 가정하겠습니다. 그러면 나의 평균 매수 단가는 19350원이 되겠습니다. 그러니까 이 분이 처음에 주식을 매수할 때는 22650원에 매수하긴 했지만 계속 분할매수를 진행하면서 나중에 최종적으로 평균 매수단가는 19350원까지 낮춰졌습니다. 그러면 이 분은 동그라만 친 위치에서 이미 수익 실현이 가능했고 그 이후로 더 올랐으니 수익이 더 많을 수도 있겠습니다. 결과적으로 기분 좋게 수익 실현할 수 있겠습니다.

 

한 번에 구매해서 운 안 좋은 경우에는 2~3년 기다려도 원금 회복이 안 되는 경우가 너무나 많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분할매수를 한다면 생각보다 짧은 기간 안에 수익을 낼 수 있는 기회가 생기게 됩니다. 그러니까 여러분 제발 분할매수 하십시오.

 

3. 분할매수와 물타기 구분하기

분할매수 진행 시 꼭 물타기와 구분하셔야 합니다. 물타기는 이미 목표한 투자 자금만큼 진행이 끝난 뒤 계속되는 하락에 너무 당황해서 목표했던 수량을 넘어서 아주 감정적으로 추가 매수를 진행하는 방식입니다. 하지만 물타기에는 아주 많은 단점들이 있습니다. 우선 나는 500만 원만 투자하려고 했는데 투자 자금이 늘어나서 600만 원, 800만 원으로 늘어나면 내가 생각했던 것보다 비중이 커지고 불안감도 같이 커지게 됩니다. 그리고 내가 생각했던 투자 예산을 벗어나기에 간혹 가다가 추가 매수를 하기 위해서 대출을 받으셔야 하는 분들이 있습니다. 이러면 대출이자까지 내야 하는 부담감에 밤마다 잠을 잘 수 없을 수도 있겠습니다.

 

그리고 한 종목에만 자금이 집중되면 다른 종목으로 수익을 낼 수 있는 기회를 놓치게 됩니다. 물타기는 이렇게 사람을 더 불안하게 만듭니다. 계획적으로 진행하는 분할매수와 무계획으로 대응하는 물타기는 아주 큰 차이가 있습니다. 여러분의 멘털을 위해서 두 가지 매매 방식을 반드시 구분하시고 계획적으로 분할매수 하시기 바랍니다. 

 

4. 분할매수했는데 매수하고 바로 오르면 손해?

혹시 나눠서 매수했는데 사자마자 바로 올라갔으면 총 500만 원 살 수 있었던 것을 150만 원밖에 못 사서 수익이 훨씬 줄어들었다고 생각하실 수도 있습니다. 그럼 너무 아쉬워할 수도 있겠습니다. 이것은 상승장만 경험해 본 분들의 생각입니다. 주식시장에는 상승장보다 하락장이 더 많습니다. 그래서 주식을 살 때는 늘 이렇게 하락을 대비해서 대응방법을 마련해 주시는 게 중요합니다.

 

내 생각과 주가가 반대로 움직이는 경우 얼마나 대응을 잘하느냐에 여러분들의 승패가 달렸습니다. 그리고 조금밖에 못 샀다고 해도 바로 올라서 수익이 났다면 좋은 것이기에 마인드 세팅을 하시는 게 중요합니다. 

 

최종정리

분할매수는 주식시장에서 가장 중요하고 가장 기본적인 매매원칙입니다. 소탐대실하시지 마시고 무조건 안전하게 특히 주식을 이제 시작하신 분들은 분할매수를 기본 원칙으로 하셨으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매도할 때도 반대로 분할로 적용해서 분할매도 하시면 되겠습니다.

 

 

지금까지 월 500만 목표로 활동하고 있는 경제적 자유프로젝트--신디였습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유튜브 주식애소리님 참고 부탁드립니다.) 앞으로 많은 사랑과 응원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